728x90
반응형
MariaDB ODBC connector 다운로드 : https://mariadb.com/downloads/connectors/
windows bit에 맞는 버전으로 다운을 받아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가 완료되고 윈도우 start를 누르고 검색창에서 odbc라고 치면 아래와 같이 설치된 odbc 프로그램이 나오는데, 선택해 프로그램에 들어간다.
설치된 odbc 드라이버들이 아래와 같이 나열된다.
로컬컴퓨터에 MariaDB 가 설치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도 만들어져 있다고 보고 odbc연결을 해 보자.
1. DSN 을 이용한 연결 방법
DSN(Data Source Name)은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DSN을 사용하여 연결하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매번 입력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DSN을 연결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Windows에서 ODBC 데이터 원본 관리자를 엽니다.
- 추가 클릭합니다.
- MariaDB ODBC x.x(버전) 드라이버를 선택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입력합니다.
- 완료를 클릭합니다.
2. UDL을 이용한 연결 방법
- 원하는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에서 텍스트파일을 클릭합니다.
- 만들어진 파일을 선택하고, 확장자를 txt 에서 udl로 변경합니다.
- 변경된 udl 파일을 선택하고 들어갑니다.
- 공급자 탭에서 MariaDB 3.1을 선택합니다.
- 데이터원본이름을 dsn에서 생성한 이름을 선택합니다.
- 데이터베이스를 만들때 사용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넣습니다.
-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합니다.
- 연결테스트를 이용하여 테스트합니다.
Connection String 을 이용한 연결방법
DB] Connection String 를 이요한 DB 연결
MariaDB ODBC가 설치 되어 있어야합니다. 설치 참고 : https://leoup.tistory.com/69 1. UDL 파일을 이용하여 연결 문자열 만들기 1. UDL 만들기 ODBC설치에서 UDL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위에 링크를 타고
leoup.tistory.com
728x90
반응형
'Lab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d 라인에서 크롬 실행하기 (0) | 2023.04.17 |
---|---|
pdf 리포트 생성 - 리포트 툴킷 사용 (0) | 2022.11.07 |
NI 하드웨어 시리얼 넘버 가져오기-프로퍼티 (0) | 2022.10.15 |
함수] 파일 정보 가져오기 (0) | 2022.04.26 |
DAQ] 디바이스 채널 얻기 feat. Tree (0) |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