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버스는 자동화 분야에서 참 자주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중에 하나이다. 아래는 NI 홈페이지에서 발췌해온 내용이다.
모드버스 프로토콜 잇점도 있지만, RS 485 를 이용하여 다중 노드도 되기에 간편한 와이어링도 들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이점으로 장비와 통신 연결을 해야 한다면 될 수 있으면 모드버스가 되는 장비를 선택한다.(RS-485 와이어링 주의 아래 참고)
아래 예제는 시리얼 통신으로 컴파일사의 MSB624RA-DC 제품과 모드버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프로그램을 한것이다. 어드레스만 다를 뿐이지 이 제품에만 한정된건 아니다.
통신속도는 슬레이브 장비속도인 115200bps 이며, 입력을 읽어들여 표현하고, 출력도 읽어 들여 표현하고 있다. 이 장비는 PLC 처럼 레더로 프로그램이 가능하여 레더로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구현되어 있다.
랩뷰 프로그램
MSB624RA 프로그램
MSB624RA 설정 모드버스통신설정 입출력설정 |
입력P8 이들어오면 출력P32 하도록되어있음. 입력과출력을랩뷰에서읽어들임. |
Modbus는 자동화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해 1979년에 개발된 산업용 프로토콜입니다. Modbus는 원래 시리얼 통신을 위해 고안된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었으나, 점차 시리얼, TCP/IP 및 UDP에서도 구현하도록 사용이 확대되었습니다.참고
Modbus 시작하기 - National Instruments
Modbus 시작하기 Modbus는 일반적으로 장치간 SCADA 식의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대형 서버는 PLC 또는 PAC의 마스터가 될 수 있고, PLC/PAC는 또한 센서, 밸브, 모터 또는 기타 임베디드 장치의 마스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Modbus는 유연적인 데이터 및 함수 모델을 갖춘 요청-응답 프로토콜로서 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이 바로 Modbus가 현재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www.ni.com
NI Community
Ask. Connect. Share. A peer-to-peer support and collaboration community.
forums.ni.com
RS-485 와이어링을 하다보면 저항이 꼭 문제가 된다. 저항을 안해도 된다. 노드가 여럿일때는 저항을 어디에 연결해야 하는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간단한 문제 같지만, 현장에서 실제 작업하다보면 저항하나때문에 와이어링 하나때문에 통신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노이즈 문제로 힘든경우가 많다.
아래 동영상에 RS-485 와이어링 관련 내용이 있으니 참고바란다.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 https://knowledge.ni.com/KnowledgeArticleDetails?id=kA00Z0000019LP9SAM&l=ko-KR
MODBUS LabVIEW 라이브러리 1.1 설치 - NI
이 문서의 해결책을 실행할 수 있는 제품을 보여줍니다. 이 해결책은 다른 유사한 제품 또는 어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knowledge.ni.com
'LabVIEW > 에드온' 카테고리의 다른 글
JKI State Machine (0) | 2019.12.21 |
---|---|
SQLite Library (0) | 2019.12.17 |